t2

종 목 : 보물  제382호

명 칭 :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蔚州 靑松寺址 三層石塔)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탑

수량/면적 : 1기

지정(등록)일 : 1963.01.21

소 재 지 : 울산 울주군  청량면 율리 1420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 울주군

남암산 아래에 있는 청송사 절터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이 탑은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이다. 기단은 각 모서리와 중앙에 기둥을 새기고, 마감돌 위에 다른 돌로 2단의 모난 괴임돌을 끼워서 각각 윗돌을 받치도록 하였다. 탑신(塔身)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다. 1층 몸돌이 특히 길고 크며, 2층 몸돌은 급격히 줄어들었고, 각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이 있고, 추녀가 두꺼워 지붕 네 귀퉁이의 치켜올림이 약하며 처마는 수평으로 길이가 짧다. 꼭대기에는 머리 장식을 받치는 노반(露盤)만 남아 있다.
이 탑은 기단의 짜임새가 정연하지 못하고, 1층 몸돌이 지나치게 큰 반면 지붕돌이 작아서 좋은 비례로 보기 어려우나, 지방에 분포된 신라 석탑의 한 예로 주목할 만하다. 또한 1층 몸돌의 괴임돌이 다른 돌로 되어 있는 점은 탑의 특이한 조형과 아울러 9세기 이후에 조성된 것을 짐작하게 한다.

 

1962년 해체, 수리할 당시 위층 기단에서 동제사리함이 발견되었다. 그 안에 청동여래입상 1구를 비롯하여 유리구슬 16점, 수정으로 만든 곱은옥 1점, 관옥 1점 등 30여 점이 발견되었다.

info3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에 건립된 석탑(石塔)으로 기단(基壇) 일부가 파손된 채 묻혀있던 것을 1962년에 해체(解體) 복원(復元)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되었다. 해체할 때 상층기단(上層基壇)에서는 청동(靑銅)으로 만든 여래입상(如來立像) 1구(軀)를 비롯하여 유리(琉璃)·구슬·수정(水晶)·옥(玉) 등 30여 점이 들어 있는 사리함(舍利函)이 발견되었다. 기단(基壇)의 구성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또한 1층의 탑신(塔身)은 지나치게 크면서 지붕돌인 옥개석(屋蓋石)은 작아 탑의 비례면(比例面)에서 볼 때 좋은 것이라고는 볼 수는 없으나, 지방의 신라 석탑(石塔)으로는 주목되는 유물 중의 하나이다.

t1t4t5t6t7t3b1b2bu1bu2info1

글 출처 : 문화재청

마켓에서 검색하세요.

런 키퍼를 쓰다가 프로로 공짜로 옮겨탔네요.

12월엔 명함 인식이 무료더니... ㅎㅎㅎ


간략 스펙

14.1 인치 LED 백라이트 LCD
i3-540M 애런데일 3M/K0스테핑(하이퍼 쓰레딩 지원)
L3 캐시 3M

인텔 GMA HD(DX 11.0 지원, 별 의미는 없지만) BIOS 내장에서 128M 메모리 고정으로 추정
리얼텍 HD 오디오
인텔 HDMI 오디오

WD 640G HDD
HP DVD-RW

블루투스, 카드 리더, 802.11n 무선랜, 기가비트 이더넷, 풀사이즈 키보드


13.3인치 i3 놋북을 살려다가(이동성 중시) 가격(5만원 차이) 때문에 이 제품을 골랐다..
어차피 차에 두고 쓸꺼라 생각해서... 라면서.. 자기 위안을 하면서... 아 무거워...

같은 가격대(안나와 최저가격 59만원대)에서 가장 좋은 스펙이다(LCD 크기는 제외)
640G 하드/i3중 제일 빠른 CPU등...

원래 MSI의 U200을 썼었는데.. 정말 적당한 크기에 적당한 성능, 괜찮은 디자인 등..
만족하고 쓴 모델인데... 가끔씩 PDF나 일러스터 파일을 잠깐 다룰때 느린거 같아
업글 결심 후 1주 탐색 끝에 지름 고고..

업글(?)을 하고 기대가 컸지만, 실 사용은 기대에 조금 못 미친다.
속도와 화면 크기는 만족할만하지만, 생각없이 넣어둔 터치 패드..

터치 패드가 시스템의 정 중앙에 있다. 스페이스 바 아래에 있어야 할 물건인데 말이다..
최고의 단점이다. 화면에서 날아다니는 마우스 포인트를 볼때마다 가슴이 미어졌다.

터치 패드 위치를 옮길 수 없는 관계로-_-..

Synaptics 드라이버를 설치해서 쓰는 중.. 검색해보시라.. 강추 유틸.

소음은 평균적인 소음이고, 사무실 환경이면 민폐를 끼치진 않을 정도.. 도서관이라면..
민감한 사람들은 눈치를 좀 줄수도...

외근이 많은지라, 밴 차량 짐칸에 앉아서 인터넷을 해야 될 경우가 종종 있는데.. -_-
약간만 작았으면 하는 바람..
DVD RW를 빼고, 사이즈를 13.3인치로 줄이고.. 가격을 좀 더 다운해줬으면..
(앗 HP의 모 모델이군-_-)

알텍렌싱 스피커가 달려 있긴 한데, 이걸로 본격적으로 음악 감상할 생각은 버리시라..

모니터 크기를 제외하고 동 가격대 최고 스펙을 자랑하지만..
게다가, 구입할때 업체의 프로모션인지 2G 메모리를 따로 더 받았다.. 왜 줬지?
구입 페이지에서도 그런 내용은 없었는데.. 여튼 공짜라서....

단점 정리 : 무개념 터치 패드 위치, 무게, 큰 크기-_-;;; , BIOS에서 사용자가 손댈 수 있는게 없다. 하다못
                해 내장 VGA 메모리 지정도 불가능.. 사용하지 않는 기가비트랜 항목도 BIOS에서는 끌 수 없
                다. 이런 젠장...

장점 정리 : 가격대비 최고 스펙, 큰 크기-_-;;;, 비교적 괜찮은 디자인,

그나마 전에 쓰는 U200 들고 다니던 로우프로 숄더백팩을 그대로...(억지로 끼워 넣으면 들어간다..)
놋북 보다 더 맘에 든 가방이라 이걸 그대로 쓸 수 있는게 다행이다.
               


 

TORA 302 솔로 에어, 코라텍 프레임...

 

기타 잡 부품.. 생각보다 가벼운 자전거가 될거 같으다..

 

^_^

 

'자전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할로겐 라이트용 하우징  (0) 2011.06.24
오랜만에 강변을 질주하다..  (0) 2011.02.03
왜곡된 사진.  (0) 2009.07.04
2003년 8월 15일 라이딩.  (2) 2009.05.25
MTB Essential Technics 1편에서 11편까지  (0) 2009.05.21
직장(조직사회)에서의 칭호

 

가 상급자에 대한 칭호

·부장님·과장님:자기가 소속된 부서의 상급자는 직급명에 '님'을 붙인다.

·서무부장님·총무과장님:다른 부서의 상급자는 부서명을 위에 붙인다.

·부장님· 과장님:같은 직급의 여러 상급자가 있을 때는 성(姓)을 위에 붙인다.

·부장·과장:상급자에게는 하급자이면서 자기에게는 상급자를 말할 때는

   '님'을 붙이지 않고 직책과 직급명만을 말한다.

 

나 하급자에 대한 칭호

·과장· 대리:같은 직급에 여러 사람의 하급자가 있으면 성이나 성명을 위에 붙인다.

·씨· 여사:직책이나 직급명이 없는 하급자는 '씨'나 '여사'를 붙인다.(여사는 기혼여성)

·선생· 형· 여사님:하급자라도 자기보다 연상자이면 높여서 말한다.

·군· 양:하급자가 미성년이거나 10년 이상 연하인 미혼자면 성이나 '군', '양'을 붙인다.

 

다 동급자·동료간의 칭호

· 과장님:동급자라도 연상자에게는 '님'을 붙인다.

·부장· 과장:직급이 있으며 동년배인 동급자간에는 직급명만을 부른다.

·선생님· 선생님:동료라도 10년 이상 연상이면 '선생님'을 붙인다.

·선배님: 5년 이상 입사선배거나 연상자이면 남녀 모두 '선배님'이라 부른다.

· 씨· 여사님:동료간이지만 친숙하지 못한 동년배는 '씨', '여사님'을 붙인다.

· 형· 형· 여사:동년배로서 친숙한 사이에는 성이나 성명에 '형', '여사'를 붙인다.

· 군· 양:10년 이상 연하자로서 친숙한 미혼이나 미성년은 '군', '양'을 붙여 부른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란도 사진  (1) 2011.05.19
소울스터 제발 양산 좀.....  (0) 2011.01.19
소녀시대 달력..  (0) 2009.12.10
국내산과 수입 주곡, 잡곡의 비교  (0) 2009.12.01
청소 좀 하고 살아야지..  (0) 2009.11.27

사양은 아래와 같습니다.

레고르 245

zotac 8200 itx-wifi

ddr2 2g x 2

wd 블랙 1T x 2

itx prime 케이스

파워 스테이션 80+ 350파워

 

용도는 HTPC겸 토렌토 시딩 머신입니다.

일단 조립 후 BIOS부터 최신으로 업데이트 하고 windows7 64bit를 설치했습니다.

 

zotac1

 

설치 후 에베레스트를 이용해서 살펴보니 CPU 전압 AUTO 로 놨을때, 기본 전압을 1.425V로 잡더군요.

무려 바이오스에서 지정 가능한 최대값!

 

쿨콰(Cool and quiet)를 켰을때 최대로 내려가는 전압은 1.175V정도입니다.

 

풀로드일때 위 사양 기준으로 9x와트를 먹습니다.(인스펙터2로 측정)

쿨콰 적용되어 아이들 상태시 6x와트정도구요.

 

CPU전압을 수동으로 지정하면, 일단 쿨콰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클럭은 조금씩 바뀌지만 배수는 고정됩니다.

낮아지는 클럭도 거의 없는 편이라 보면 됩니다.(C1E덕이라고 추정)

 

CPU의 전압을 1.175 이하로 고정하면 CPU가 800Mhz로 고정되더군요. 전압 부족으로 쓰르틀이 걸리는건지..

여튼 이 전압에서는 시스템도 불안정(TP파일 재생하다가 프리징)되는 경우가 잦아서, 1.1875로 고정해서 쓰는

중입니다.

 

쿨콰는 꺼진 상태지만 아이들 6x와트 풀로드 7x와트 쯤으로 준수한 소비 전력을 보여 줍니다.

쿨콰를 꺼고, 저전력 셋팅을 했을때 오히려 IDLE부터 풀 로드까지 전부 잇점이 있네요. 의외로..

 

인텔의 D510MO보드(듀얼 아톰, x3150 내장VGA) 가 현재 최저가 검색 사이트 기준으로 14만원대이고,

이 보드는 아x코다에서만 판매하고 있는데 12만원대입니다. 물론 CPU는 별매죠. 레고르를 쓴다고 가정했을때,

 

비용은 4~5만원 정도 더 들게 됩니다. BUT  아톰을 쓸때의 답답함은 저 멀리로.. ^^

 

업그레이드를 하게 된 이유는 HDD를 추가할려고 보니 D510MO 보드의 경우 s-ata포트가 2개이고, 이 보드는

4개입니다. s-ata 확장 카드를 추가할 경우를 생각해봤을때, 답이 딱 나와 있더군요.

 

아쉬운 점은 ITX보드에서 하나 있는 확장 슬롯이 PCI-e 1배속이라는것입니다.

아직은 조금 더 구하기 쉬운 일반 PCI 슬롯이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고,

 

CMOS에서 AMD CPU Stepping 이라는 항목이 있고 P0부터 P3까지 있는데..

 

이 항목의 설명은 메뉴얼에도 없더군요.

 

zotac2

 

온도는 ITX PRIME 케이스가 잘 잡는 편이 아니더군요. 케이스를 세워서 사용하기 때문에,

맨 위쪽에 홀쏘로 구멍을 뚫고 80mm 팬을 배기로 하나 달아줬습니다.

 

온도가 확 내려가서 이 정도입니다. 실 사용에 무리 없는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원래 온도는 45도 이상이었습니다.(CPU기준)

.2009/Sept update
.Added support on new AMD Sempron CPUs
.Fixed Power On Alarm issue (when Day 0 = Everyday)
.Fixed issue of  USB WiFi module conflict with some USB Storage Device
(Dec / 2009)

bios 파일과 업데이트 툴(윈도우용)

dht

빨간 동그라미는 무조건 체크 해제.

 

공개 사이트에서는 사용하기도 한다네요. –_-

스팀, ea, 블리자드..

 

음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