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 목 :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호
명 칭 : 어물동마애여래좌상(於勿洞磨崖如來坐像)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면적 : 3기
지정(등록)일 : 1997.10.09
소 재 지 : 울산 북구 어물동 산122
시 대 : 통일신라
소유자(소유단체) : 울산광역시
관리자(관리단체) : 북구
상 세 문 의 : 울산광역시 북구 문화홍보과 052-219-7553
‘방바위’라고 불리는 거대한 바위에 일광(日光)·월광(月光)보살을 협시로 하는 약사삼존불을 높게 돋을새김한 마애불이다.
모든 중생의 질병을 구제해준다는 중앙의 약사불은 비교적 길쭉한 얼굴로, 이목구비가 약간 마멸되었을 뿐 세련된 모습을 보여준다. 목에는 3개의 주름이 뚜렷하며, 당당한 어깨와 강건한 신체는 통일신라를 대표할 만한 조각 수법을 보여준다. 하지만 마멸이 심한 두 손과 오른쪽 옷주름 등에서는 다소 딱딱해진 면도 엿보인다. 좌우의 협시보살은 약간 모난 듯 긴 얼굴에 원통형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이마에 각각 해와 달을 표시하고 있어 일광·월광보살임을 알 수 있다.
바위 뒷면에는 서까래 같은 것을 걸쳤던 자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석굴사원 형식의 공간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마애불은 방바위라 불리는 거대한 바위에 일광(日光)·월광보살(月光菩薩)이 협시(脇侍)하고 있는 약사삼존불(藥師三尊佛)을 높게 돋을새김한 것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본존인 약사불은 비교적 길게 생긴 느낌을 주는 얼굴인데 이목구비가 약간 마멸(磨滅)되었을 뿐 세련된 모습을 보여준다. 당당한 어깨에 목에는 삼도(三道)가 뚜렷하고 강건한 신체는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할만한 조각 수법을 보여주지만 오른쪽 소매의 옷주름과 마멸이 심한 두 손등은 다소 딱딱해진 면도 엿보인다. 좌우 협시보살(脇侍菩薩)은 약간 모난 듯한 긴 얼굴에 원통형 보관(圓筒形 寶冠)을 쓰고 있는데 각각 해와 달을 표시하고 있어서 일광(日光)·월광보살(月光菩薩)임을 알 수 있다. 이 바위 뒷면에 연목(椽木)같은 것을 걸쳤던 자리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석굴사원(石窟寺院)형식의 전실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글 출처 : 문화재청
'울산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5호 간월사지(澗月寺址) (0) | 2011.02.04 |
---|---|
울산 병영성 (1) | 2011.01.23 |
태화사지 십이지상 부도는 어디로 갔을까? (0) | 2011.01.23 |
울주 망해사지 승탑(蔚州 望海寺址 僧塔) - 망해사지 석조 부도라고도 함 (2) | 2011.01.16 |
울산 율리 청송사지 3층 석탑 (0) | 2011.01.09 |